본문 바로가기
솔리드웍스/초보

[솔리드 웍스] 기초 2편 - 구속

by E.S.C 2021. 1. 29.

[솔리드 웍스] 기초 2편 - 구속

 

솔리드 웍스에서 3D 모델링을 하기 위해서는 구속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구속 방법에 대해 배워 보겠습니다.

 

(기초편 이므로 초보자 눈높이에 맞추다 보니 자세한 내용과 응용 부분은 많이 생략됩니다.

솔리드웍스를 빠르게 이해하기 위한 것이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구속이란 2D 스케치에 치수 및 수평, 수직, 동일선상, 평행, 동등, 고정 등의 조건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완전구속이란 완전히 치수및 구속조건이 모두 기입된 스케치 상태를 일컷습니다.

완전 구속되면 스케치선이 파란색 검은색이 됩니다. 

 

스케치를 진행하다 보면 우측 하단에 충돌 오류 메세지와 함께 스케치가 노란색 선으로 변하는걸 볼수 있는데 치수의 오류나 중복조건 기입등 여러 원인들이 존재합니다.

 

-스케치선 파란색 경우 불완전 구속 상태

-스케치선 검은색 경우 완전한 구속 상태

-스케치선 노란색 경우 충돌 오류 상태

 

구속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케치를 종료하고 3D 피쳐를 생성 할 경우 간섭이나 오류 치수,틀어짐 등이 발생 할 수도 있기에 구속을 반드시 해주시고 완전구속 까지 진행 후 3D 피처 생성을 권합니다.

 

 

 


 

솔리드 웍스에서 가장 기본적인 구속에 대해 배워 봤습니다.

 

구속이란 시스템을 솔리드웍스 초보자 분들은 많이 어려워 하는데요.

 

캐드와 달리 솔리드웍스는 우선 형태를 대충 그린 후에 치수 및 구속조건를 넣어 스케치를 완성 시키는 것이 보편적이므로 스케치와 구속에 대한 이해와 연습이 많이 필요합니다. 

 

앞서 말씀드린것처럼 완전 구속이 안된 상태에서 3D로 변환 및 수정을 하게 되면 구속 안된 부분에서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할수 있으니 꼭!! 주의 하셔야 됩니다. 

 

구속조건의 자세한 내용은 뒤에 한번더 준비되어 있으니 어렵다고 조급해 하지 마시고 쉬운 도형으로 치수기입하여 구속시키는 연습 부터 차근차근 해보세요.

 

다음편은 마우스 제스처 에 대해 배워 보겠습니다.

 

댓글